안녕하세요~ 게임바구니입니다!
이번 포스팅은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사이트맵, rss 등록에 대한 글입니다.
먼저 사이트맵과 rss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갑시다.
- 사이트맵
웹 마스터가 블로그의 정보를 더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으로 검색엔진에게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할게 해주는 역할입니다.
- rss(Really Simple Syndication)
'Really(진짜), Simple(간단한) Syndication(연합)'으로 블로그의 업데이트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해주는 것으로 구독자에게 알림 보내는 기능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입니다. 간단한 정보 전달의 역할입니다.
결론으로 왜 사이트맵과 rss를 등록해야 하냐면 '블로그 노출 최적화를 도와주는 도구'이기 때문입니다.
블로그 노출 최적화가 이뤄진다면 더 많은 사람들에게 블로그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리는 것입니다.
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사이트맵, rss 등록
1) 먼저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티스토리 주소를 등록하셔야 합니다.
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우측 상단에 있는 웹마스터 도구에 들어가시면 됩니다.
'웹마스터 도구 → 사이트 관리 → 티스토리 주소 붙여 넣기'를 하시면 됩니다.
티스토리 주소를 등록하셨다면 HTML을 등록하셔야 하는데 2가지 방법 중 아래가 더 쉽습니다.
'HTML 태그 클릭 → <meta name 쏼라 쏼라>를 복사'하시면 됩니다.
※ 아직 HTML 태그 등록을 안 했으니 소유확인을 누르시면 안 됩니다.
티스토리에 가셔서 이제 HTML 태그를 등록해야 합니다.
'티스토리 → 플러그인 → <Meta Tag/> 활성화'를 해줍니다.
name 옆에 2가지 박스가 있습니다.
'①번 박스 클릭 → naver-site-verification 입력 → ②번 박스 클릭 → content=" "안의 내용을 입력'합니다.
- ①번 박스 안에는 name=" "안의 내용 입력
- ②번 박스 안에는 content=" "안의 내용 입력
많은 사람들이 이 방법을 통해 HTML 태그를 등록합니다.
하지만 저는 그냥 제 맘대로 '①박스에 제가 등록하고 싶은 이름'으로 등록했고 '②번 박스에 HTML 태그를 통째로 복붙' 했는데 이상 없이 사용하고 있습니다.
이 방법이 싫다면 제 방법으로 등록하셔도 됩니다. 단지 나중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.
몇 달째 저렇게 등록해뒀지만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를 이상 없이 사용하고 있습니다.
2) 티스토리 주소 등록 후 사이트맵과 rss를 등록합니다.
티스토리 주소 등록 후 rss를 등록해줍니다. 사이트맵과 rss 등록 순서는 상관없이 하시면 됩니다.
'요청 → RSS 제출 → RSS URL 입력 → 티스토리 주소 뒤에/rss 등록'을 하시면 됩니다.
제 블로그로 예를 들자면 https://padadadak.tistory.com/rss를 입력하면 됩니다.
rss를 등록했다면 이제 사이트맵 제출을 해줍니다.
'요청 → 사이트맵 제출 → 사이트맵 URL 입력 → 티스토리 주소 뒤에/sitemap.xml 등록'을 해줍니다.
rss 등록 방법과 똑같습니다 티스토리 주소 뒤에 /sitemap.xml를 입력하시면 됩니다.
마지막으로 티스토리 등록, rss, 사이트 맵 등록이 올바르게 됐는지 확인을 해줍니다.
'리포트 → 사이트 최적화 → 검색 로봇 수집 확인'을 하시면 끝입니다.
rss와 사이트 맵을 등록하기는 쉬우니 해줄 수 있으면 반드시 등록해줍니다.
이상입니다.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 좋은 하루 보내세요~
'일상 이야기 > 티스토리 TIP'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진 이어 붙이기, 색상 보정 (0) | 2021.09.14 |
---|---|
사진 용량 최적화(줄이기) 추천 사이트 (0) | 2021.09.13 |
댓글